
[세종타임즈] 환경부는 금한승 환경부 차관이 7월 29일 오전 전남 담양군 재난폐기물 임시적환장을 방문해 수해 폐기물의 이송·처리 상황과 현장 관리실태를 점검하고 지난 7월 17일 집중호우로 주민들이 대피했던 광주천 양동복개시장 현장을 찾아 관리실태와 향후대책을 점검한다고 밝혔다.
정부와 지자체는 재난 상황이 종료된 7월 21일부터 본격적인 피해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지자체의 1차 집계 결과, 이번 수해로 약 8만 5천톤의 재난폐기물이 발생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담양군의 경우 약 3,008톤으로 집계됐다.
환경부는 피해조사와 복구계획 수립이 완료되기 전이라도, 지자체가 재난폐기물을 선제적으로 처리하도록 독려하고 있다.
지자체가 자체 예비비를 통해 처리하고 국비가 지원되면 사후정산하게 된다.
특히 도로변이나 주택가에 침수된 폐기물이 방치되어 악취나 해충과 같은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임시적환장을 설치·운영하고 재난폐기물이 배출되면 즉시 수거·이송 조치하도록 하고 있다.
임시적환장은 대규모로 발생하는 재난폐기물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시설이다.
현재 수해 피해가 발생한 43개 시군구에서 1차 및 2차 적환장을 합해 총 313개의 임시적환장이 운영되고 있으며 7월 27일 기준으로 2만 1,434톤의 재난폐기물이 2차 적환장 등으로 이송됐다.
환경부는 재난폐기물의 임시적환장 반입·반출 현황을 일일 단위로 관리하고 있으며 소속 유역환경청을 통해 임시적환장 환경관리 실태를 주기적으로 현장 점검해 재난폐기물이 장기간 방치되지 않도록 관리하고 있다.
한편 7월 17일 발생한 집중호우로 홍수특보 발령 및 주민대피·교통통제 등이 시행된 광주천 일대는 도시화율이 높고 하천정비가 어려워 통상적인 대책으로 침수피해 방지가 어려운 지역으로 환경부는 근본적인 침수피해 예방을 위해 대심도 지하방수로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금한승 환경부 차관은 “재난 피해지역의 열악한 환경을 신속하게 복구·개선하는 것은 환경부의 중요한 책무다”며 “이번 수해로 발생한 재난폐기물을 신속하게 처리하고 침수지역의 환경을 안전하게 관리해 수재민들이 하루빨리 일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남은 홍수기 동안 피해가 최소화되도록 철저히 대비하는 한편 근본적인 홍수피해 예방을 위해 광주천 일대 침수방지 사업을 차질 없이 철저하게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세종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