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식을 사랑할수록 엄하게 키우라는 말이 있다. 자식에 대한 과보호나 지나친 사랑이 자식을 약하게 만들고 자립을 방해하거나 망칠 수 있다.
식물을 사랑한다고 너무 자주 물을 주면, 그 식물은 뿌리가 썩어 죽게 되듯 교육도 마찬가지이다. 오냐오냐 키우면 버릇이 나빠져 할아버지의 수염마저 잡아당긴다는 말이 있다. 자식을 사랑할수록 제대로 된 가정교육(家庭敎育)이 반드시 필요하다.
경제적으로 아주 부유한 한의사가 있었다. 인성이 좋아서 주변 사람들과 인간관계가 매우 좋았다고 한다. 나라 안에서 몇 번째 안가는 고급 주택에 살고 있었다. 세상 사리(事理)에도 밝았다고 한다. 가정 밖에서는 저명한 인사였다고 한다.
그러나 가정에서는 딱 하나밖에 없는 아들 앞에서 모든 것에 약했다. 불면 꺼질까 걸어가면 넘어질까 금이야 옥이야 귀하게 길렀다. 아들이 원하는 것이면 무조건 다 들어주었다. 청소년시절(靑少年時節)에 고가(高價)의 오토바이(auto bicycle)를 사줬고 오냐오냐하면서 돈은 달라는 대로 주었다.
아들은 미국으로 유학을 갔고 미국에서는 경제적 풍부함으로 생활이 자유로웠다. 돈 많고 시간의 여유를 갖게 되자 아들은 카지노(casino)에 빠졌다. 돈을 잃었다. 그 돈을 부모에게 송금하도록 했다. 부모는 서너 번은 아들이 원하는 대로 보냈지만, 그 횟수가 지나치게 잦아지자 의심을 하고 생활을 바로 잡으려고 교육을 시키면서 보내는 횟수를 점차 줄여 나갔다. 그러나 이미 때는 늦었다. 아들은 빠져나올 수 없는 도박에 중독이 되었다. 부모가 자꾸 이유를 묻고 돈을 따지게 되자 아들은 자신이 필요한 돈을 소유하기 위해 귀국을 했다. 그리고 밤중에 자기 집에 불을 질렀고 부모는 그 불에 타서 목숨을 잃었다. 자식을 오냐오냐 키운데 대한 참담한 결과(結果)이다.
기소한 검사가 아들에게 물었다. 왜 너를 풍족하게 길러준 부모님을 죽였느냐. 아들이 대답했다. 부모님이 죽으면 그 재산은 제가 상속(相續)을 받게 되니까요. 그 재산을 갖기 위해서였어요.
공부를 제대로 하지 않은 아들은 존속살인자는 재산 상속권이 없다는 것을 알지 못했다.
오늘날 수많은 사람들이 자식을 한 명만 낳다 보니 인구가 줄면서 자식은 더욱더 귀한 존재가 되었고, 그만큼 오냐오냐 교육은 가정이나 학교에서 늘어나고 있다. 유대인들처럼 고기 잡는 방법을 가르쳐 주는 것이 아니라, 고기를 잡아주기도 하지만 입에 넣어주기까지 하는 현상이 곳곳에서 많이 일어나고 있다. 참으로 미래가 걱정이다.
오냐오냐 교육은 처참한 비극이다. 옛말에 귀한 자식일수록 엄하게 키워야 한다고 했지만, 현대의 수많은 부모들은 그렇게 못하고 있다.
내 자식이 귀하고 예쁠수록 엄하고 강하게 키워야 한다는 지고지순한 진리를 너무나 잘 알면서도 쉽지 않은 것이 오늘의 가정이고 학교이다.
봄이 되면 바위틈 사이에서 파랗게 솟아나 꽃을 피우는 야생화를 볼 수 있다. 그 한 송이 꽃이 피어날 수 있었던 것은 모진 겨울을 견디었기 때문이다. 겨울의 추위와 눈보라를 견디지 못했다면 그 야생화는 봄이 되어도 피어나지 못했을 것이다.
우리네 인생도 같은 이치이기에 가정에서나 학교에서나 아이들에게 자립심을 길러주어야 한다.
들창코원숭이는 두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고 한다. 어미는 그중 한 마리만 정성을 다하여 키운다. 다른 한 마리는 아무도 돌봐주지 않기 때문에 떠돌이 생활을 하면서 스스로 먹이를 찾아다니며 살아야 한다. 그런데 놀라운 사실은 어미가 돌봐준 새끼는 어미 품을 떠나면 바로 죽지만, 어미 품을 떠나 스스로 먹이를 구하면서 혼자 살아난 새끼는 건강하게 자라서 어미나 아비의 역할을 한다. 인간이 원숭이에게서 배워야 할 자립심의 본보기인 셈이다. 우리는 그 원숭이의 생활을 통하여 자식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능력을 꼭 키워주어야 한다는 귀중한 교훈을 반드시 얻어야 할 것이다.
자식은 귀할수록 엄(嚴)하고 강하게 키워야 한다.
취업은 의사나 판검사가 된다면 너무너무 좋겠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대기업에 취업하면 최선이고, 사무관(5급 공무원)으로 취업하거나 교사로 취업하거나 중견기업에 취업하면 차선이며, 9급 공무원으로 취업하거나 순경으로 취업해도 선망의 대상이다.
■ 참고 사항
1. 대통령 연봉(2025년) : 2억6천258만1천원
2. 의사 연봉(2022년, 전공의 제외) : 3억100만원
3. 의사 연봉(2025년 전문의) : 4억원 이상(추정액)
4. 판사 월급(기본급, 1호봉, 2025년) : 3,536,500원
5. 검사 월급(기본급, 1호봉, 2025년) : 3,536,500원
6. 사무관(5급 공무원) 월급(기본급, 1호봉, 2025년) : 2,799천원
7. 교사(기본급, 9호봉(일반직 공무원 1호봉), 2025년) : 2,366천원
8. 주사(6급 공무원) 월급(기본급, 1호봉, 2025년) : 2,309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