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타임즈]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지난 10월 28일(화) 서울 켄싱턴호텔에서 강준현·김종민·박수현·황운하 국회의원실과 공동으로 ‘세종 국가상징구역 토론회’를 열고, 국가상징구역의 기본 구상과 발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이번 토론회는 세종시 대통령 세종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이 들어설 국가상징구역이 어떤 국가적 가치와 철학을 담아낼 것인지에 대한 각계 의견을 공유하고, 현재 진행 중인 국제 마스터플랜 공모의 방향성을 구체화하는 자리가 됐다.
강주엽 행복청장은 “이번 토론회는 국가상징구역 조성에 있어 국민의 다양한 지혜를 모으는 뜻깊은 시간”이라며 “국가의 시대정신과 미래세대를 위한 비전이 함께 담길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국가상징구역은 행정중심복합도시 중심부 S-1 생활권 210만㎡ 부지에 조성되며, 향후 대한민국 국정 중심이자 국민 통합과 소통의 무대로서 역할을 할 예정이다. 특히 행정과 입법, 시민이 함께하는 개방형 공간 조성이 핵심이다.
이날 토론회 1부에서는 각계 전문가들의 발제가 이어졌다. 황재훈 충북대 교수는 “세종 국가상징구역은 단순한 정부 청사가 아닌, 국민과의 소통을 위한 수평적·개방적 공간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으며, 임석재 이화여대 교수는 “국가정체성과 공공성을 조화롭게 담아야 하며, 역사성과 시대정신, 미래 비전이 함께 반영돼야 한다”고 밝혔다.
2부 종합토론에서는 도시, 건축, 역사, 조경 등 분야별 전문가들이 다양한 제언을 내놓았다. 김도년 성균관대 교수는 “AI, 스마트도시 등 첨단 기술을 융합한 국제적 선도 지구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했으며, 송하엽 중앙대 교수는 “다문화, 평등, 환경의 가치를 반영한 공감형 국가상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우동선 한국건축역사학회 회장은 “전통 양식이 아닌, 현대 한국의 장점을 살린 미래지향적 설계가 중요하다”고 제언했고, 박윤진 오피스박김 대표는 “산수 개념을 반영한 지속가능한 자연경관과 시민 참여형 공간 구성이 국가 상징경관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현장에는 정부 관계자와 전문가 외에도 시민과 대학생 등 다양한 계층이 참석해 높은 관심을 보였다.
한 대학생은 “국가 상징이 국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것이라는 점이 새롭게 다가왔다”며 “앞으로 설계 공모에도 직접 참여하고 싶다”고 말했다.
행복청 관계자는 “국가상징구역은 국민과 함께 대한민국의 미래를 설계하는 공간”이라며 “앞으로도 설계공모, 도시계획, 건축설계 등 모든 절차에 국민 참여 창구를 지속 확대해 나가겠다”고 전했다.
한편, 국가상징구역 마스터플랜 국제공모는 오는 11월 20일까지 접수를 받으며, 국민참여 투표와 전문가 심사를 거쳐 12월 중순 당선작을 발표할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