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타임즈] 충남교육연구소는 21일 오후 부여 휴컴센터 대회의실에서 ‘백제 역사·문화 기반 미래교육’을 주제로 한 미래교육포럼을 열고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바탕으로 한 충남형 미래교육의 방향을 모색했다.
이번 포럼에는 부여 지역 학부모와 군민 등 80여명이 참석해 큰 관심을 보였다.
참석자들은 지역 교육의 현안과 인구절벽 시대의 대응 방안, 그리고 지역 정체성을 살린 미래교육의 비전에 대해 활발히 의견을 나눴다.
이병도 소장은 이날 기조 강연에서 “백제는 단순한 과거가 아니라, 배움의 동기이자 미래교육의 자원”이라며 “지역의 역사와 문화 속에서 아이들이 스스로 배움의 의미를 발견하고 세계로 나아갈 수 있는 힘을 길러주는 것이 충남형 미래교육의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인구 절벽과 지역 소멸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학교와 마을이 협력하는 교육 생태계를 구축하고 학생 주도형 탐구 학습과 지역성 기반 교육과정 운영을 확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부여여고 이전 및 지역 도서관 복합화 등 지역 교육 인프라 현안에 대한 질의응답과 자유토론도 이어졌다.
참가자들은 “지역의 뿌리를 기반으로 한 교육이 곧 지역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든다”며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병도 소장은 “이번 포럼을 통해 지역이 가진 역사와 문화를 교육의 힘으로 바꾸는 가능성을 확인했다”며 “충남교육연구소는 앞으로도 지역의 역사·문화·공동체가 살아 있는 충남형 미래교육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충남교육연구소는 도내 시·군을 순회하며 미래교육포럼을 진행 중이며 각 지역에서 제시된 의견을 종합해 ‘충남 미래교육 정책 제안 백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세종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