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타임즈] 충북도의회 정책복지위원회 이상정 의원(음성1)은 13일 제429회 임시회 1차 본회의 5분 자유발언에서 “오송 지하차도 참사 희생자를 추모하고 보다 안전한 사회를 만들어 가기 위해 추모 조형물의 연내 설치에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2023년 7월 15일 14명의 무고한 생명을 앗아간 오송 궁평2지하차도 참사는 천재지변으로 인한 단순 사고가 아닌 우리 사회의 구조적 문제와 안전불감증이 낳은 비극이었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이어 “유가족의 아픔을 함께하고 비극적 사고에 대한 경각심을제고하기 위해 충청북도가 지난 9월 임시회에 도청 내 추모 조형물 설치 예산 5,000만원을 편성했지만, 도의회는 의견 수렴 절차 부족 등을 이유로 해당 예산을 전액 삭감했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또 “도의회가 오송 참사를 국가적 재난으로 규정하고 국립 추모- 기억관 설치와 국가적 추모 행사 추진을 정부와 국회에 건의한 것은 의미있는 노력이지만, 지역 차원 노력의 첫걸음인 추모 조형물 설치 예산을 삭감한 상황에서 본다면 진정성을 의심받을 수 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이에 이 의원은 “오송참사는 지역의 아픔을 넘어 대한민국 전체가 기억해야 할 국가적 재난인 만큼 진정한 추모의 마음을 담은 조형물의 연내 설치를 위해 충북도의회가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오송 궁평2지하차도 참사 희생자를 기리기 위한 추모 조형물 설치의 필요성을 강력히 호소하며 충청북도의회의 자성을 통한 적극적인 추진 노력을 촉구했다.
지난 2023년 7월 15일에 벌어진 이 참사는 천재지변으로 인해 발생한 단순 사고가 아닌, 우리 사회의 구조적 문제와 안전 불감증이 낳은 비극이었다.
14명의 무고한 생명들이 숨을 거두었고 남겨진 유가족들은 말할 수 없는 고통 속에 갇혀 하루하루를 견디고 있다.
그들의 아픔을 기억하고 다시는 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경각심을 일깨워야 한다는데 공감하는 분들이라면, 이를 위한 상징을 남겨야 한다는데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것이다.
이에 충청북도는 유족과 합의해 지난 9월 임시회에 충북도청 내 추모 조형물을 설치하기 위한 5천만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이는 단지 조형물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희생자를 기억하고 안전사회의 가치를 되새기는 추모와 교육의 장을 마련하는 일이었다.
그러나 충북도의회는 유가족과 도민 의견 수렴 절차가 부족하다는 이유로 해당 예산을 전액 삭감했다.
유가족들이 이미 도청 내 설치에 동의했고 시민대책위와 생존자협의회 역시 조형물 설치를 지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도의회가 이 조형물 설치를 ‘혐오시설’로 취급하며 예산을 삭감한 것은 유가족들에게 또 다른 상처를 안긴 것이다.
더욱이 도의회는 지난 달 23일 오송 참사를 국가적 재난으로 규정하고 국립 추모- 기억관 설치와 국가적 추모 행사 추진을 정부와 국회에 건의했다.
이러한 건의는 한편으로 의미가 있을 수 있지만, 정작 지역 차원에서의 첫걸음인 조형물 설치 예산을 의회가 삭감한 상황에서는 말과 행동이 엇박자를 내는 것으로 진정성을 의심받을 수 밖에 없다.
충북도의회는 같은 회기에 10억원이 넘는 다른 사업 예산은 부활시키면서도 상대적으로 적은 액수인 5천만원의 추모 조형물 예산은 끝내 삭감시키고 말았다.
이는 단순히 예산의 문제가 아니다.
재난을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어떤 사회적 약속을 후대에 남길 것인가에 대한 우리의 태도와 철학을 묻는 문제다.
추모를 위한 지극한 마음을 담아 제작하는 조형물은 도민들에게 안전의 중요성을 상기시키고 희생자들의 죽음이 헛되지 않았음을 증명하는 상징이 될 것이다.
지난 회기 추모 조형물 예산을 삭감한 저를 포함한 충북도의회는 통렬한 자성의 자세를 가져야 한다.
오직 유가족과 도민의 목소리를 존중해, 3회 추경에서 예산을 확정해 해를 넘기지 않고 올해 안에 추모 조형물 설치를 마무리해야 한다.
오송 참사는 우리 충북의 아픔을 넘어, 대한민국 전체가 기억해야 할 국가적 재난이다.
추모 조형물 설치는 반드시 연내에 이뤄져야 한다.
저작권자 © 세종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