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타임즈] 공주시가 주최한 제71회 백제문화제가 12일 공주 금강신관공원에서 성황리에 폐막하며, 10일간의 역사문화축제 여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올해 축제는 ‘세계유산 백제, 동탁은잔에 담다’를 주제로 10월 3일부터 12일까지 공산성, 무령왕릉과 왕릉원, 금강신관공원 일원에서 다채롭게 펼쳐졌으며, 약 70만여 명의 관람객이 축제장을 찾으며 뜨거운 관심을 입증했다.
축제의 시작을 알린 개막식에서는 1,071대의 드론쇼가 밤하늘을 수놓으며 장관을 연출했고, 주제공연 ‘웅진판타지아’는 실감형 기술과 전통 서사를 융합한 무대로 관람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4막으로 구성된 공연은 과거와 현재, 미래를 넘나드는 서사로 백제의 문화유산을 새롭게 해석했다.
백제문화제의 대표 시민 참여형 프로그램인 ‘웅진성 퍼레이드’는 시민들과 청소년, 문화예술단체가 직접 참여한 거리 행진으로 도심 전체를 축제 열기로 물들였고, 무령왕의 장례 의식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무령왕의 길’은 역사와 전통의 품격을 더했다.
‘백제마을 고마촌’에서는 금관 만들기, 탈 꾸미기 등 가족 단위 관람객을 위한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됐고, ‘웅진백제별빛정원’은 밤마다 미디어아트와 조명으로 화려한 야경을 선사했다. 이 밖에도 ‘백제 인사이트’ 특별 전시는 세계유산 등재 10주년을 기념해 유네스코 등재 과정과 백제역사유적지구의 가치를 소개하며 교육적 콘텐츠로도 주목을 받았다.
공주시는 일본 나고미정, 야마구치시, 모리야마시와 필리핀 바기오시 등 국외 교류도시, 대전 동구·이천시·부천시 등 국내 도시 대표단과의 문화 교류를 통해 국제적인 협력 관계도 강화했다.
또한, 2,000여 명에 달하는 자원봉사자와 지역 예술단체, 청소년 등이 축제 운영에 참여해 시민 주도형 축제 모델을 구현했고, 지역 농특산물 판매와 지역 상권 연계 프로그램도 마련되어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불러왔다.
최원철 공주시장은 “이번 백제문화제는 시민이 주인이 되어 만든 축제이자, 세계에 백제의 찬란한 역사와 공주의 문화적 역량을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며,“앞으로도 백제문화제를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글로벌 역사문화축제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