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주박물관, 특별전 ‘한성, 475–두 왕의 승부수’ 개최

475년 한성 전투를 입체적 서사로 재구성… 고대 전쟁사 재조명

강승일

2025-09-15 22:20:22

 

 

 

 최장열 국립공주박물관장 

 

[세종타임즈] 국립공주박물관(관장 최장열)은 특별전 <한성, 475–두 왕의 승부수>를 오는 2025년 9월 16일(화)부터 2026년 2월 22일(일)까지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는 국립공주박물관의 ‘한성에서 웅진으로’ 시리즈의 세 번째 기획으로, 백제와 고구려의 갈등 속에 벌어진 475년 한성 전투를 중심으로 양국의 군사·외교 전략과 전투 양상을 실제 무기와 갑옷 등 450건의 유물을 통해 입체적으로 조명한다.

 

전시는 기(起)·승(承)·전(轉)·결(結)의 4부 구성으로, 역사적 흐름에 따라 관람객의 이해를 돕는다.

 

1부 ‘백제와 고구려, 양국의 갈등’에서는 양국의 오랜 대립과 백제의 거점 전략을 소개한다. 화성 사창리 출토 금동관모가 이번 전시에서 처음 공개되며, 세종 나성동과 광주 동림동 출토 유물, 풍납토성 모형(레고 재현)이 함께 전시된다.

 

2부 ‘두 왕의 대국’은 개로왕과 장수왕의 20년 넘는 전략 싸움을 바둑 기보 형식으로 재구성해 눈길을 끈다. 백제계 금동신발, 왜계 갑옷, 남조 도자, 개로왕의 북위 국서('동문선' 수록) 등 유물들이 국제 관계 속 백제의 대외 전략을 설명한다.

 

3부 ‘폭풍전야, 고구려의 진격’에서는 고대 전쟁의 실상을 실제 무기 300여 건과 함께 구체화한다. 공산성 출토 백제 철제 갑옷, 연천 무등리 고구려 갑옷 등 양국 전투 장비를 비교 전시하고, 쇠뇌(기계식 활)와 화살 관통 실험 영상, 전문가 인터뷰 영상, 투명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작동 원리 설명 등 체험형 콘텐츠도 마련됐다.

 

4부 ‘한성에서 웅진으로’는 패전 이후의 백제를 조명한다. 무령왕릉 출토 용봉황장식 고리자루 큰칼과 무령왕 초상화가 전시되며, 개로왕 영상과 마주 배치돼 ‘갱위강국’의 연속성을 보여준다.


이번 전시는 고고학 전시의 학술성과 더불어, 관람객의 흥미를 끌기 위한 다양한 연출이 도입됐다. 인기 웹툰 작가 고일권이 개로왕과 장수왕의 삽화를 맡았고, 프로 바둑 기사 조연우 2단이 기보 콘텐츠 제작에 참여해 전시의 몰입감을 높였다.

 

또한, 한성 전투 대형 프로젝션 맵핑 영상은 배우의 연기를 바탕으로 역사적 서사를 생생하게 재현하며, 단순한 유물 관람을 넘어서는 역사 체험의 장을 제공한다.

 

최장열 국립공주박물관장은 “개로왕은 그간 부정적으로 평가돼 왔지만, 이번 전시는 ‘갱위강국’ 백제 재건의 밑거름이 된 정치적 선택을 자료에 근거해 새롭게 조명한다”며 “한성 전투가 단순한 패전이 아닌, 삼국 각축의 분기점이자 웅진 천도의 역사적 전환점임을 국민들이 공감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이전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