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타임즈]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이 태국 방콕에서 열린 UN ESCAP(유엔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위원회) 저탄소도시 국제포럼에서 세종 행복도시의 친환경 개발 성과와 미래 전략을 국제사회와 공유했다.
25일부터 사흘간 열린 이번 포럼은 아·태 지역 50여 개국 도시 전문가와 정책 관계자가 참석해 저탄소 도시 전환 사례를 논의하는 자리로, 행복청은 행사 마지막 날인 27일 발표에 나섰다.
행복도시는 2007년 착공 이후 도시 면적의 절반 이상을 녹지와 친수 공간으로 확보하고, 저영향개발(LID) 기법, 옥상·벽면 녹화 등을 도입해 생태적 회복력을 강화해왔다.
또한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비율 25% 달성을 목표로 태양광·지열 보급을 확대하고, 제로에너지건축(ZEB) 확산을 추진하며 ‘2040 탄소중립 도시’를 향한 로드맵을 밟고 있다.

교통 분야에서는 BRT 중심의 순환형 대중교통망, 비승용차 분담률 70% 달성 목표, 친환경차 충전 인프라 확충 등을 추진 중이다.
스마트시티 부문에서도 세계 최초로 국제 인증을 획득한 국가시범도시로, ICT 기반의 통합관리체계를 운영하며 에너지 절감, 스마트 가로등, 자동화 폐기물 수거시스템 등을 실현했다.
행복청은 이번 발표가 단순 성과 소개를 넘어 국제사회가 참고할 수 있는 저탄소 도시 모델로서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특히 개도국을 비롯해 환경친화적 도시 개발을 추진하는 해외 도시들에 벤치마킹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강주엽 행복청장은 “행복도시는 단순한 행정도시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미래를 보여주는 지속가능 도시 모델”이라며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확대해 글로벌 탄소중립 모범도시로 자리매김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