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타임즈]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이 청소년 우울감 증가와 자살 위험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학생 마음건강 증진 및 자살예방 종합방안’을 마련하고 예방-발견-회복-협력의 전방위 지원체계를 본격 가동한다.
최교진 교육감은 27일 교육청 4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브리핑에서 “코로나19 이후 학생들의 정서 불안과 자살위험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됨에 따라, 학생 마음건강을 교육정책의 최우선 과제로 설정했다”며 “교육공동체가 함께 촘촘한 돌봄과 회복 체계를 구축해 한 명의 아이도 놓치지 않겠다”고 밝혔다.
가장 먼저 추진되는 핵심 과제는 ‘예방’ 중심의 따뜻한 교육환경 조성이다. 세종시교육청은 사회정서역량 강화를 위한 사회정서교육을 학교급별로 연 6차시 운영하고 있으며, 상담집중주간, 마음건강 캠페인, 친구관계 형성 프로그램 등도 3월과 9월에 집중 실시하고 있다.
특히, 올해 초·중·고 31개교에 ‘마음챙김 프로그램’ 운영비를 지원한 데 이어, 2027년까지 전 학교로 확대할 계획이다. 프로그램은 사제동행 활동, 동아리 활동, 명상, 체육·예술활동 등을 포함하며, 정서적 안정과 긍정적 또래문화 형성에 초점을 맞춘다.
상담실 환경 개선도 병행된다. 문턱을 낮추기 위해 학급 단위 상담실 체험, 긍정 문구 게시, ‘좋은 아침 맞이’ 프로그램 등을 도입하고 있다. 전 교직원 대상 생명지킴이 교육(게이트키퍼)도 108개교에 확대되며, 위기학생 대응 매뉴얼인 '학생 마음 똑똑 안내서'도 함께 보급됐다.
두 번째 과제는 위기학생 조기 발견이다. 교육청은 초등 1·4학년, 중1, 고1을 대상으로 정서·행동특성검사를 실시하고, 위험군 학생에게는 기존 4회에서 최대 8회까지의 집중 상담을 제공한다. 중·고 2·3학년은 국제 인증 심리도구인 YSR 행동평가검사를 통해 정밀 분석이 이뤄진다.
전문가는 검사 결과에 따라 직접 학교를 방문해 교사와 면담을 진행하고, 학부모와도 연계 지원을 실시한다. ‘자녀 정서지원 문자서비스’, 시민 대상 특강, ‘학부모 마음똑똑 상담전화(☎ 044-866-4612)’ 등을 운영해 가정 내에서도 정서적 돌봄을 이어갈 수 있도록 했다. 방학 중에는 가족 간 소통을 강화하는 ‘가족성장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학부모 간 자조모임도 지원하고 있다.
세 번째 과제는 회복지원이다. 세종학생정신건강센터를 세종충남대병원에 위탁 운영하고 있으며, 고위험군 학생 발생 시 ‘마음안심 119’ 긴급 출동 서비스를 통해 현장 대응을 신속하게 이행한다.
전문가는 학생별로 담당자를 배정해 상담, 치료기관 연계, 학부모 코칭, 약물관리, 학업 복귀까지 전 과정에 걸쳐 지원한다. 위기교사에 대한 소진예방 프로그램도 함께 운영된다.
정서·심리검사 결과 고위험군으로 판정된 경우, 교육청은 치료비·상담비·검사비·학부모 코칭비를 지원하고 있으며, 학부모에게는 자녀 이해 교육(2시간)도 의무화했다.
자살 사례 발생 시에는 교육청·학교·전문기관이 공동 대응체계를 통해 심리검사, 애도교육, 유가족 상담 등 치유 지원을 총동원해 신속한 일상 복귀를 유도하고 있다.
네 번째 과제는 지역과의 협력 강화다. 각 학교는 교장을 중심으로 정기적인 위기관리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교육청은 부교육감을 중심으로 위기지원 전담팀을 운영해 부서 간 유기적 협조 체계를 마련했다.
또한 세종시청과 협력해 ‘생명존중 안심마을 사업’을 공동 추진하고, 권역별 행복누림터를 활용한 지역민 대상 마음건강 교육도 병행하고 있다. 학생 정신건강을 ‘학교’에서 ‘지역사회 전체’로 확장하려는 노력이 본격화된 것이다.
최교진 교육감은 “정서적 어려움에 처한 단 한 명의 학생도 외면하지 않도록 예방부터 회복까지 빈틈없는 지원체계를 구축했다”며 “학생과 학부모, 교직원이 함께 안심하고 성장할 수 있는 교육 환경을 만들기 위해 지속적으로 정책을 보완하고 협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