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타임즈] 세종시가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해 상가 공실 문제를 점검하고 대책을 논의하는 자리를 마련했다.
시는 21일 오전 10시 30분 정부세종컨벤션센터에서 ‘세종시 상가공실 활성화 방안’을 주제로 전문가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백기영 유원대학교 교수와 허세영 루센트블록 대표이사가 발제를 맡아 상가 공실 문제의 해결 방안과 관련 정책 사례를 발표했다.
첫 번째 발제에서 백기영 교수는 세종시 상가 공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을 제시했다. 그는 테마상가 조성과 마케팅 강화를 통해 상가의 경쟁력을 높이고, 초기 창업자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경영 컨설팅 제공을 강조했다.
또한 지역사회와의 연계를 강화해 상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도시 전체의 1인당 상업 면적 총량을 관리하는 등 체계적인 정책 수립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백 교수는 신규 생활권에서는 1인당 4㎡의 상업 면적 기준을 유지해야 한다고도 덧붙였다.
이어 허세영 루센트블록 대표이사는 부동산 조각투자와 이를 활용한 지역 상권 활성화 사례를 소개했다. 그는 부동산 조각투자가 지역 경제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설명하며, 이를 통해 성공적으로 적용된 사례와 구체적인 방안을 공유했다.
발표 후에는 김성표 대전세종연구원 책임연구위원이 좌장을 맡아 패널 토론이 진행됐다. 조정희 국토연구원 연구위원, 황윤희 공인중개사 등 다양한 전문가가 패널로 참여해 상가 공실 문제와 상권 활성화 방안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이어갔다.
참여자들은 세종시의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상권 조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소상공인을 위한 재정적 지원과 창업자 친화적 제도의 도입이 동반돼야 한다는 의견이 공감을 얻었다.
시는 이번 토론회에서 논의된 의견과 제안을 바탕으로 상가 공실 문제 해결과 상권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실제로 적용할 계획이다.
김현기 경제산업국장은 “이번 토론회는 상가 공실 문제를 해결하고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는 중요한 기회였다”며 “지속가능한 지역경제 생태계를 구축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