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패권 경쟁시대’국가필수전략기술 확보, 출연연이 앞장선다

국가필수전략기술 확보를 위한 출연 전략 발표회 개최

강승일

2022-02-17 14:56:26




‘기술패권 경쟁시대’국가필수전략기술 확보, 출연연이 앞장선다



[세종타임즈]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소속 12개 출연연은 지난해 말 발표한 “국가필수전략기술 선정 및 육성·보호 전략”의 신속한 추진을 위해 ‘국가필수전략기술 확보를 위한 출연 전략 발표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는 이경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 김복철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사장, 국가필수전략기술 분야별 12개 주요 출연 원장 등이 참석해 국가필수전략기술 확보를 위한 출연연의 임무 및 추진방향을 논의했다.

‘국가필수전략기술’이란 기술 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국가적 역량을 결집해 필수적으로 경쟁력을 확보해야 할 10개 분야 기술로서 공급망·통상, 국가안보, 신산업 등 관점의 중요성, 국가 역량 집중시 우리의 기술주도권 확보 가능성, 정부 지원의 시급성을 고려해 선별됐으며 향후 분야별 3~5개의 ‘세부 중점기술’을 선별하고 이를 확보하기 위한 R&D 로드맵과 인력, 실증⸱사업화, 규제개선, 기술보호 등을 포괄하는 육성⸱보호 전략을 수립할 예정이다.

이 날 전략 발표회에서는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이인환 본부장이 ‘국가필수전략기술 확보를 위한 출연의 역할 및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우선, 출연연의 국가필수전략기술 관련 R&D 예산은 ‘19년 1조 1,200억원에서 ’21년 1조 9,799억원으로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우주항공, 첨단바이오, 양자 등 ‘추격형’ 기술분야에 R&D 예산의 절반 이상을 집중하고 있다.

출연연은 기관 차원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한 기술역량 축적이 용이한 출연연의 특성을 십분 활용해, 대학 및 민간 연구소에서 수행하기 힘든 장기간의 연구를 수행하고 핵심 기술 국산화를 통해 관련 산업 생태계 육성 및 기업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또한 연수직 인력과 R&D를 수행하고 노하우를 공유하는 등 R&D 인력 생태계 형성에도 앞장서며 국가적 임무를 수행하는 산학연 협력 거점으로서 기술인력 협력 네트워크를 축적·구축해나갈 예정이다 향후 출연연은 산학연 연구 거점으로서 인력양성 및 기술 축적을 주도하고 산학연 파트너십 강화로 자생적 역량 축적을 지원하며 거점기관으로서 대학/기업 등과 산학연 협력체계를 구축해 나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경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글로벌 기술패권 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첨단기술은 국가 생존과 안보에 필수적인 전략 무기로 부상하고 있어, 경제성을 넘어 안보까지 고려한 정부 R&D를 추진하기 위해 국가 R&D 싱크탱크인 출연연의 역할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하면서 “임무지향적인 기술 개발, 젊은 연구 인력 양성, 지역 산업체 및 대학과의 협력을 통한 지역 혁신 허브 역할, 국제 교류 및 기업과의 공동 기술 개발 등 국가 연구소로서 출연연이 다양한 역할을 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전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