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했던 가운데, 일시적 한파가 내습한 가을

아열대고기압의 이례적 발달로 가을철 전반 평균기온 역대 최고

강승일

2021-12-08 13:01:57




따뜻했던 가운데, 일시적 한파가 내습한 가을



[세종타임즈] 기상청은 ‘2021년 가을철 기후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가을철 평균기온은 14.9℃로 평년보다 0.8℃ 높았다.

9월 초부터 10월 중반 평균기온은 역대 가장 높았고 이후 10월 중순 급격한 기온 하강으로 10월 기온 변동폭이 역대 가장 컸다.

한편 올해 2월과 3월 그리고 가을철 전반 기온이 평년보다 월등히 높았던 가운데, 1월부터 11월까지의 전국 평균기온은 14.4℃로 같은 기간에 대해 역대 1위를 기록하고 있고 상위 10위 이내에 2010년대 이후 7개 해가 포함되어 있다.

가을철에 접어든 이후에도 아열대고기압이 우리나라 남쪽에 장기간 머물면서 따뜻한 남풍류가 유입되어 고온 현상이 나타났고 10월 중순까지도 우리나라 주변에서 이례적으로 발달하던 아열대고기압이 10월 15일부터 남쪽으로 물러나는 동시에 찬 대륙고기압이 빠르게 확장하면서 기온이 급격하게 하강했다.

가을철 강수량은 256.4mm로 평년과 비슷했다.

9월 초부터 10월 중반 주기적인 기압골의 영향으로 비가 자주 내렸다/역대 4위). 이후 10월 중순부터는 상층 한기를 동반한 기압골 후면 북서풍의 영향으로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 비와 눈이 내린 가운데, 특히 두 차례 전국적으로 비가 내렸다.

11월 찬 대륙고기압이 두 차례 일시적으로 확장하면서 서쪽 지역을 중심으로 첫눈이 관측됐다.

서울의 경우 11월 10일에 첫눈이 내렸으며 작년보다 30일 평년보다 10일 빨랐다.

올 가을철 태풍은 총 9개가 발생해, 1개가 우리나라에 영향을 줬다.

제14호 태풍 ‘찬투’는 북상하던 중 북쪽 고압부에 막혀 중국 상해 부근 해상에서 장기간 정체함에 따라 이에 동반된 비구름대에 의해 제주도에 매우 많은 비가 내렸다.

2021년 가을철 전국 강수량의 일변화 시계열과 분포도 및 퍼센타일 퍼센타일: 평년 동일 기간의 강수량을 크기가 작은 것부터 나열해 가장 작은 값을 0, 가장 큰 값을 100으로 하는 수임 박광석 기상청장은 “지난 가을철은 10월 중반까지 고온 현상이 나타났고 이후 기온이 급격히 내려가는 등 기후 변동성이 뚜렷이 나타난 계절이다”며 “이번 겨울철 한파, 대설 등 위험기상이 예상될 때, 집중관측을 강화하고 특보 및 기상정보가 신속히 전달되도록 최선을 다한다”고 밝혔다.
이전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