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타임즈] 사단법인 괴산향토사연구회는 지난 9일 괴산문화원 3층에서 ‘괴향문화’ 제29집 발간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날 기념식에는 이차영 괴산군수, 윤관로 괴산향토사연구회 회장, 장재영 문화원장을 비롯해 20여명이 참석했다.
‘괴향문화’ 제29집에는 부자독립운동가 김용응,김태규 선양고찰 박세무의 동몽선습 유포실상을 통해본 그 교재로서의 가치 우리나라의 양자제도의 고찰 송남 조재삼선생 유허지 전법과 방언류 충원정루정 시집소고 ‘삼송리 학원아동명’에 나타난 사회상에 대한 연구 감물면 곤동마을 유래 1950년대 읍면정사 괴산출생 자유당 리기붕부통령후보 홍보물 '자유의 등불' 노성도의 연하일곡 바위글씨 최초탁본기 소읍역사탑방기 ‘숲속작은책방’ 괴산 정착기 유네스코 세계유산 공주마곡사 답사기 홍범식 고택에서 듣는 일제의 황국신민화정책 괴산의 노년 문화예술교육을 말하다 외국인 노동자 성균관 유도회부회장 효자 박온섭 기적비명 등의 수록돼 있다.
괴산향토사연구회는 1988년 창립한 이래 이번까지 29권의 학술지를 발간하며 지역의 역사와문화의 뿌리를 연구하는 기초적 자료로 활용되며 더 나아가 민족사를 정립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그간 지역에 산재한 문화유산을 찾아 송덕비, 정자현판, 각종 금석문 등을 탁본해 전시회를 가진바 있으며 ‘괴산군지명지’ 발간, 전국최초로 한국전쟁시 향토방위군의 활약상을 조사 연구한 ‘괴산군 향토방위군의 발자취’ 책자를 발간했다.
2020년에는 530쪽 분량의 ‘괴산군교육사자료집’발간해 조선조말에서 근·현대 사교육 조명에 큰 성과를 거양했다.
윤관로 괴산향토사연구회 회장은 “1990년 창간호를 시작으로 금년 29회까지 괴향문화에 게재된 논문과 글은 470여 편으로 이는 장구한 시간과 노력의 결과물이 아닐 수 없다”며 “회원 모두 자부심을 갖고 계속 정진해 괴산을 중심으로 중원문화와 역사를 정립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세종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