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종타임즈]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최근 고랑딱개비 등 독도 인근 바다에 사는 자생생물 12종의 유전자를 분석해 신종 후보군 3종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국립생물자원관은 박중기 이화여대 교수 연구진과 2019년부터 최근까지 ‘독도·울릉도 자생 무척추동물의 분자계통지리학적 기원 연구’ 사업을 통해 독도 인근 바다에 서식하는 주요 자생생물군의 유전적인 다양성을 연구하고 있다.
연구진은 독도를 포함해 북서태평양 연안에 서식하는 12종의 무척추동물 총 137개체군, 2,383개체의 유전정보를 확보해 비교, 분석했다.
분석 결과, 독도 바다에 서식하는 개체군은 매우 높은 유전적 다양성을 보여 독도 자연 생태계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번 유전자 분석 연구를 통해 독도에 서식하는 신종 후보 3종을 발굴했다.
신종 후보종 3종은 절지동물 등각류의 일종인 독도갯강구, 연체동물 복족류 독도고랑딱개비, 육상선형동물의 일종인 독도토양외난소선충이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이들 3종의 증거 표본을 국립생물자원관 수장고에 보존해 관련 연구자들과 국민이 열람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다.
아울러 이들 3종의 생물정보를 국가생물종목록에 등재하고 국제학술지에 발표해 독도 생물주권에 대한 인식을 학술적으로도 널리 알릴 계획이라고 전했다.
박진영 국립생물자원관 생물자원연구부장은 “독도 생물자원 목록 구축 사업을 통해 총 2,046종에 대한 생물정보를 구축한 바 있으며 이번 유전자 연구를 통해 독도 자연 생태계의 건강성과 보전 가치를 재확인했다”며 “앞으로도 독도와 주변 해역의 생물자원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연구를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세종타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